동결견(오십견, Frozen Shoulder) 상세 설명
📌 1. 개요
동결견(凍結肩, Frozen Shoulder)은 어깨 관절의 움직임이 점차적으로 제한되고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.
흔히 **오십견(五十肩)**이라고 불리지만, 꼭 50대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40~70세 사이에서 주로 나타납니다.
**어깨를 감싸는 관절낭(Capsule)**에 염증과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관절낭이 두꺼워지고 유착(붙는 현상)이 발생하여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이 특징입니다.
초기에는 단순한 어깨 통증으로 시작되지만, 시간이 지나면서 어깨가 얼어붙은 듯한(동결) 상태가 되어 심한 운동 제한을 초래합니다.
📌 2. 원인
동결견은 **특발성(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)**일 수도 있고, **이차적(기저 질환, 부상으로 인해 발생)**일 수도 있습니다.
(1) 원발성(특발성) 동결견
✅ 뚜렷한 원인 없이 발생
✅ 주로 40~70세, 특히 50대 이상에서 흔함
✅ 당뇨병, 갑상선 질환 등 대사질환과 관련 있음
(2) 이차성(속발성) 동결견
✅ 어깨 부상, 수술 후 합병증
- 회전근개파열, 어깨 골절, 탈구 후 유착 발생
- 심근경색, 뇌졸중 후 어깨 사용 감소로 인해 발생
✅ 내과적 질환과 관련
- 당뇨병(특히 제1형) → 동결견 발생 위험 3~4배 증가
- 갑상선 기능 이상 (갑상선저하증, 갑상선항진증)
- 파킨슨병, 심혈관 질환
✅ 장기간 어깨 움직임 제한
- 팔 골절, 수술 후 깁스를 오래 착용한 경우
- 오랜 기간 어깨를 사용하지 않으면 관절이 굳어짐
📌 3. 증상 단계
동결견은 **3단계(결빙기 → 동결기 → 해빙기)**를 거치며, 완치까지 약 1~3년이 소요될 수 있음
단계 특징 기간
1단계: 결빙기(Freezing stage) | 통증이 심해지고, 움직임이 점점 제한됨 | 약 2~9개월 |
2단계: 동결기(Frozen stage) | 통증이 줄어들지만, 어깨 움직임이 매우 제한됨 | 약 4~12개월 |
3단계: 해빙기(Thawing stage) | 서서히 회복되며 운동 범위가 개선됨 | 약 6개월~2년 |
🔹 **초기(결빙기)**에는 통증이 심하여 밤에 자다가도 깨어날 정도의 극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음
🔹 **중기(동결기)**에는 통증이 줄지만, 팔을 올리거나 뒤로 돌리는 동작이 거의 불가능함
🔹 **후기(해빙기)**에는 점진적으로 회복되며, 운동 범위가 점차 정상으로 돌아옴
📌 4. 진단 방법
🏥 동결견은 주로 임상 증상과 신체검사로 진단되며, 필요에 따라 영상 검사를 시행
(1) 문진 및 신체검사
✅ 환자의 증상 확인 (통증, 운동 제한 여부)
✅ 팔을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(전방 거상) 및 외회전, 내회전 동작 제한 확인
✅ "Apley scratch test": 한쪽 손으로 반대쪽 어깨를 만지는 동작 수행 → 제한 여부 확인
(2) 영상 검사 (필요 시 시행)
✅ X-ray (엑스레이)
- 다른 질환(관절염, 골절) 감별 목적
✅ 초음파 (Ultrasound) - 회전근개 손상 여부 확인
✅ MRI (자기공명영상) - 어깨 관절낭의 두꺼워짐과 유착 확인
📌 5. 치료 방법
🔹 동결견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 회복될 수 있지만, 조기 치료가 중요
🔹 초기 치료를 잘하면 회복 기간을 단축하고, 만성화 예방 가능
(1) 비수술적 치료 (초기~중기, 대부분의 환자에게 적용)
✅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
- 소염진통제(NSAIDs, 이부프로펜, 나프록센 등) → 염증 완화
-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(어깨 관절 내 주사)
✅ 물리치료 및 스트레칭 운동
- 온열 치료(핫팩, 초음파 치료) → 근육 이완
- 가동 범위를 늘리는 스트레칭 → 운동이 가장 중요!
- 어깨 도르래 운동, 벽 기어오르기 운동 등 시행
✅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
- 염증이 심한 경우, 관절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 시행
- 단기적으로 통증 완화 효과가 뛰어남
✅ 수압 팽창술(관절 수압 확장술, Hydrodilatation)
- 관절낭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유착을 풀어줌
- 운동 범위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음
(2) 수술적 치료 (비수술적 치료에 반응이 없을 경우)
✅ 관절경 유리술 (Arthroscopic Capsular Release)
- 관절경(내시경)으로 유착된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
- 비수술 치료로 회복되지 않는 환자에서 시행
✅ 마취 후 관절 조작(Manipulation Under Anesthesia, MUA)
- 전신 마취 후 의사가 강제로 어깨를 움직여 유착을 풀어주는 방법
- 단점: 통증이 심할 수 있으며, 회복 기간이 필요
📌 6. 동결견과 감별해야 할 질환
질환 주요 차이점
회전근개파열 | 특정 동작(팔 올리기)에서 통증이 심하며, 힘이 약해짐 |
석회화건염 | 어깨 힘줄에 칼슘이 쌓여 급성 통증 발생 |
어깨 충돌 증후군 | 특정 각도에서 심한 통증, 그러나 운동 제한은 적음 |
관절염 | X-ray에서 관절 변형이 보임, 점진적인 퇴행성 변화 |
📌 7. 예방법
✅ 1) 규칙적인 스트레칭 및 운동
- 어깨 가동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매일 스트레칭
- 팔 올리기, 뒤로 돌리기, 도르래 운동 등 추천
✅ 2) 올바른 자세 유지
- 장시간 컴퓨터 사용 시 어깨 긴장 완화 필요
- 목과 어깨를 자주 스트레칭하여 경직 방지
✅ 3) 적절한 체온 유지
- 찬 바람에 어깨를 노출하지 않도록 주의
- 온찜질(핫팩) 사용하여 혈액순환 촉진
✅ 4) 적절한 운동 후 회복
- 과도한 운동 후에는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 필수
📌 8. 결론
🔹 동결견은 초기 통증이 심하고, 시간이 지나면서 운동 제한이 심해지는 질환
🔹 초기 치료(약물, 물리치료, 운동)를 잘하면 회복 기간 단축 가능
🔹 예방을 위해 어깨 스트레칭과 바른 자세가 중요
🔹 비수술적 치료로 대부분 호전되며, 수술은 최후의 선택
🏥 어깨 통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! 😊
'건강 > 근골격계 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건강상식> 협착증이 골프에서 미치는 영향! 허리 그만아프세요! (10) | 2025.02.20 |
---|---|
<건강상식> 척추측만증이란? 더불어 골프에서의 측만증의 영향 (1) | 2025.02.19 |
<건강상식> 만성허리통증! 요추추간판탈출증에 대하여 (1) | 2025.02.07 |
<건강상식> 골프칠 때 손목이 아프다? 손목 건초염 의심해보세요! (3) | 2025.02.03 |
<건강상식> 골프치고 숨쉴 때마다 아프다? 늑골 피로골절 의심해보세요! (2) | 2025.01.31 |